극단 토모즈 팩토리
TOMOS FACTORY
공중의 방
The Solitary Room In The Air
공중의 방1 | 공중의 방2 |
---|---|
공중의 방3 | 공중의 방4 |
공중의 방5 | 공중의 방6 |
공중의 방7 | 공중의 방8 |
공중의 방9 | 공중의 방10 |
공중의 방11 | 공중의 방12 |
공중의 방13 | 공중의 방14 |
공중의 방15 | 공중의 방16 |
공중의 방17 | 공중의 방18 |
공중의 방19 | 공중의 방20 |
공중의 방21 | 공중의 방22 |
공중의 방23 |
PHOTO by 김재형
<공중의 방>은 이 나라에서 발생한 두 개의 사회적 사건을 소재로 한다. 하나는 2014년에 발생한 세월호 사건, 그리고 또 다른 하나는 2003년의 한진중공업의 노동자 김주익의 죽음이 그것이다. 유례를 찾아 볼 수 없는 해양사고와 십 년 전에 일어난 선박회사의 노동쟁의는 일견 어떤 관련성도 없어 보인다. 그러나 우리는 이 두 개의 사건이 현대 한국사회에 있어서 ‘약자들의 비극’, 어떤 의미에서는 이 시대의 수난의 이야기로 다뤄질 수 있음에 주목했다.
두 개의 사건을 묶어주는 키 워드는 ‘배’다. ...
세월호 사건과 같이 소위 말하는 천재지변(실재로는 인재였으나)을 다루는 경우 작업자의 태도는 신중해질 수 밖에 없다. 사건과 비극의 거대함에 대본을 만지는 손에 경련이 올 정도다. 또한 이런 실재 사고를 다루는 경우 작업자의 접근법은 개인에 따라 전혀 다른 모습을 취하게 될 것이다. 어떤 이는 풀리지 않은 사건의 진실을 규명하는 것에 초점을 놓을 것이고, 어떤 이는 희생자와 유족들의 마음을 짓밟고 있는 정부에 대한 분노를 극화하여 사회적 문제제기를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우리들이 선택한 길은 이 2015년 현대 한국에 있어 ‘사회적 트라우마’라고 표현해도 될 만한 이 사건들을 현실과 신화(혹은 이야기성)을 대치시킴으로써 신화의 레벨까지 끌어 올려보자는 것이었다. 이 사건들이 지니는 압도적인 사실성에 신화적(혹은 우화적) 이야기가 충돌하면서 드라마는 사실성에 흡수되지 않으면서 역사적 비극을 연극적으로 형상화할 수 있게 되었다. 중언하자면 우리가 이 연극을 통해 그려내고자 했던 것은 한국현대사회에 있어서 ‘수난의 이야기’이다.
그렇다. 이 작품은 현재 진행형의 수난극이다. 세월호의 이미지는 선박노동자 김주익의 죽음과 만나 이 세계의 종언에 구원을 선사하는 ‘방주’라는 이미지로 전환되었다. 그리고‘방주’가 지니는 홍수신화의 아우라(후광)는 세계 이상기후에 의한 대홍수로 파멸해가고 있는 세계라는 연극적 상상을 유도해냈다. 이 작품 속에서 홍수에 의해 도시는 침수되고 육지라는 육지는 모두 바다 밑으로 가라앉아 방주를 찾아낸 사람만이 종말의 순간에 살아남는다는 상황이 펼쳐진다. 하지만 그 배를 탄 산 이는 아무도 없다. 죽은 자들의 배가 천천히 침몰해가는 도시 위를 떠내려가고 있을 뿐이다.
이 이야기의 등장인물은 모두 ‘현재’살아있다는 것 자체가 고통스러운 이들이다. 살았으나 이미 죽은 자들인 것이다. 외딴 방에서 청년은 자기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사회를 독한 말로 저주한다. 그리고 어떤 이는 아무것도 하지 않았음에 아무것도 할 수 없음에 힘들어 하고, 소년은 살아남아버렸음을 괴로워한다. 그들이 존재하는 공간은 모두 ‘외부로부터 단절된 작은 방’ 이다. 이것이 상징하는 것처럼 그들은 현대사회 속에서 고독하고 고통스러우며 참을 수 없는 무엇인가를 견디면서‘구원救済’를 원망願望하고 있다.
청년이 감지해내는 신호는 그들이 그토록 소망했던 ‘구원’의 전조다. 그러나 상처받은 고독한 현대인인 그들에게 ‘구원’이라는 단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작품의 말미에 그들이 맏닥드리는 결말은 ‘구원’에 대한 각자의 선택이다. 어떤 이는 ‘구원’을 거부하고, 어떤 이는 스스로의 죽음에 의해 ‘구원’을 타인에게 건넨다. 어떤 이는 ‘구원’을 거부했으나 결국 홀로 살아 남아버린 자기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우리는 사회라는 이름의 한 척의 거대한 ‘배’의 승객들이다. 그리고 그 ‘배’는 천천히 침몰해가고 있다. 이 배에 선장은 없다. 아마도 그 누구의 도움도 없을 것이다. 그리고 구명동의는 부족하다.
사건은 결코 끝나지 않았다. 왜냐하면 우리들은 아직도 이야기 속의 등장인물과 마찬가지로 이 거대한 ‘배’의 승객이기 때문이다. 단지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이 ‘배’가 침몰해가고 있다는 사실이다.
지금 필요한 것은 이야기의 힘이다.
죽은 자와 산 자의 세계를 이어주는 이야기의 힘을 회복하는 것.
‘구원’이 없는 이 세계에 ‘구원’을 예고하는 것.
그것은 라디오의 빈 채널에서 새어나오는 모르스 신호의 어렴풋한 속삭임을 닮아 있다. 그러나 그 메시지는 누구로부터 누구에게 보내지는 것인가?
그것은 우리로부터 당신에게…
그리고 그로부터 우리에게…
성노진
전필재
송철호
홍라무
김보경
임예슬
이서준
이휘종
고유나
오행훈
작 / 연출
드라마트루그
조연출
무대
조명
음향
분장
손상희
쯔카구치 토모
전승훈
정혜린
박상본
우수정
길선희
주선진